메뉴 건너뛰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늙은 여우의 심장을 쏜 거타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1 서해 백령도의 어딘가에서


 


, 어찌 곡도(鵠島)에 홀로 남겨졌단 말인가!”


()나라 사신으로 가게 된 양패(良貝)를 따라 나선 게 엊그제 같은데, 육지에서 멀고 먼 서해 곡도에 홀로 남겨지게 되었다. 후회스러웠다. 차라리 따라 나서질 말걸. 가만히나 있으면 반이라도 간다했거늘. 가만, 이 이야기는 어디서 들었더라. 생각하기 귀찮다, 신라로 돌아갈 길도 막막해진 거타지는 풍경 좋은 못 주변에 벌렁 누워버렸다.


이보게, 내 얘기 좀 들어 주게나.”


무슨 소리지? 주변에 아무도 없을 터인데. 거타지는 놀라 주변을 살폈다. 그런데 못 위에 백발의 몸가짐이 단정한 노인 하나가 자신에게 말을 걸고 있는 게 아닌가. 거타지는 깜짝 놀라 되물었다.


누구신데 나이게 말을 거는 것이오? 사람이요, 귀신이요?”


나는 서해용왕(西海龍王)이라오. 근일 해 뜰 무렵 노승 하나가 하늘에서 내려 우리 가족을 헤치기 시작했다네. 이제 나와 내 늙은 처와 딸 하나만 남았구려. 자네의 활솜씨를 귀하게 여겨 내 일부러 이곳에 남긴 것이라네. 그러니 내 부탁을 들어주게나.”


이 무슨 해괴망측한 일이란 말인가. 거타지는 속으로 혀를 찼지만, 서해 한가운데 섬에 남겨져 선택할 수 있는 게 별로 없었다.


거타지는 서해용왕의 말에 따라 노승이 내려온다는 곳에서 기다렸다. 해가 뜰 무렵 하늘이 흐려지고 구름이 춤추더니 정말 노승 하나가 하늘에서 내려오고 있었다. 거타지는 온 신경을 곤두세우고 활에 화살을 메기고 때를 기다렸다. 잠시 후 노승이 주문을 읊자 서해용왕과 가족들이 물 위로 떠오르기 시작했다.


옳지, 지금이다.’


거타지는 노승의 심장을 향해 있는 힘껏 당겼던 활시위를 놓았다. 화살은 쉬이익- 소리를 내며 날라가 노승의 심장에 콱! 박혔다. 노승은 괴성을 지르며 땅 위로 고꾸라졌다.


거타지는 얼른가 자신이 맞춘 노승의 사체를 확인했다. 그런데 그 자리에는 가슴에 화살이 박힌 늙은 여우 한 마리가 죽어 있었다. 늙은 여우가 노승으로 변해 용들의 간()을 빼먹고 있던 것이다.


서해용왕은 거타지에게 다가와 고마움을 표했다.


자 이걸 가져가게. 나의 선물일세.”


이것이 무엇입니까. 꽃가지 아닙니까?”


그냥 꽃가지가 아닐세. 내 하나 남은 딸이네. 자네가 신부로 맞이해 행복하게 살도록 하게.”


내 운은 이제 다 했다 했더니,  혼신을 다한 화살 한 대에 삶이 바뀌었구나!”


서해용왕은 두 용()에게 거타지를 당나라까지 호위하도록 했다. 당에 도착한 거타지는 귀빈으로 환대를 받았고, 신라로 돌아와 꽃가지를 여인으로 변하게 한 후 부부의 연을 맺고 오래도록 행복하게 살았다.


    



#2 늙은 여우의 심장을 쏜 거타지



z2_cp02070111000.jpg


[사진] 고구려 고분 무용총 벽화에 그려진 수렵도(狩獵圖). 예부터 활을 잘 쐈다는 이야기가 많이 전해진다.




이야기의 배경이 되는 곡도는 서해 최북단의 섬, 지금의 백령도다. 삼국시대에 곡도라 부르다 따오기가 흰 날개를 펼치고 공중을 나는 모습을 닮았다 하여 백령도(白翎島)라고 부르게 되었다. 백령도는 심청전의 배경이 되는 인당수가 있는 곳이기도 하다.


거타지 설화는 작제건(作帝建) 설화의 원형으로도 유명하다. 작제건이 항해하던 중 풍랑이 사나워져 점을 치니, 고려 사람이 배에서 내려야 한다는 점괘가 나와 작제건이 한 섬에 내리게 된다. 섬에 내린 작제건에게 서해용왕이 나타나 부처의 모습을 한 이를 퇴치해 달라하여, 작제건이 부처를 활로 쏘아 죽이니 그 부처는 늙은 여우로 변하였다. 그 뒤 용왕의 딸과 작제건이 혼인하여 함께 살게 된다는 이야기다. 작제건은 고려 태조 왕건의 조부로서, 후대 왕건의 조상들을 신격화하는 과정에서 거타지 설화를 활용한 것으로 보고 있다.


용이 사람을 구한 게 아니라 사람이 용을 구하는 이야기에서 인간의 지위가 높아지는 문화적 배경을 엿볼 수 있다. 물론, 신을 뛰어 넘는 존재가 되었다기 보다 인간도 하나의 존재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정도로 받아들이면 될 것 같다. 그렇기에 과거 신화의 시대에 비해 신의 지위가 한층 낮아진 지금의 시대에 더 어울리는 설화라 느끼는 것일 수도 있겠다






참고자료


문화콘텐츠닷컴 <판타지 삼국유사 - 거타지의 활솜씨>, <한국의 몬스터 - 거타지>
위키백과 <거타지 설화>





?

Title
  1. 인간사 액운을 막아주는 지장아기

    #1. 동개남상주절의 깊은 밤으로부터   금슬 좋았던 남산국과 여산국 부부는 마흔이 넘도록 아이를 갖지 못했다. 그리하여 동쪽 산 너머 동개남상주절에 시주를 하고 부처님께 석 달 열흘을 빌어 드디어 딸을 얻게 된다. 그 아이의 이름을 지장이라 지었다.  ...
    By늘봄
    Read More
  2. 돌하르방의 권선징악, 녹핀영감

    #1 제주도 바람맞이 언덕 위에서 어느 추운 겨울 날, 가난한 나무꾼이 나무를 지고 산을 내려오고 있었다. 옷은 여기저기 헤져 그의 살림살이를 짐작하게 했다. 그 때 나무꾼은 저 멀리 언덕 위에 서 있는 한 영감을 발견했다. “아니, 영감님. 이 추운 날 여...
    By늘봄
    Read More
  3. 만나지 말았어야 할 연인, 김현감호설화

    #1. 경상북도 경주시의 흥륜사에서 신라에 음력 이월이 되면 초여드렛날에서 보름날까지(8일~15일) 흥륜사의 전탑을 돌며 복을 비는 풍속이 있었다. 신라 원성왕 8년(792)사월 초파일에 일어난 일이다.  화랑 김현이 밤 깊이 전탑을 돌고 있었다. 더 시간이 ...
    By늘봄
    Read More
  4. 조광조의 안위를 물은 털사람

    #1. 옛 영남 함양 고을 위성관에서 어느 가을, 영남으로 안찰(按察)을 간 김모는 함양에 이르렀다. 손님을 맞은 향리는 술자리를 만들고 기생을 불러 대접하려 했으나, 이를 다 물리치고 홀로 방으로 돌아와 잠을 청하고 청했다. 덜컹. 밤이 깊은 시간 문이 ...
    By늘봄
    Read More
  5. 불과 아궁이의 신, 화덕벼락장군

    #1. 옛날 제주도 조천읍 와산리 어딘가 “큰딸년아, 내 뒤 귀썰매를 걷어보아라. 어쩐 일인지 귓등에 고랑니(이)가 끓는 듯 가렵구나.” “어머님아, 귓등을 걷어보니 고랑니는 없고 귓밥이 가득했습니다.” “그러면 귓밥을 내어다오.” 큰 딸과 ‘검은 땅 밭’에서 ...
    By늘봄
    Read More
  6. 늙은 여우의 심장을 쏜 거타지

    #1 서해 백령도의 어딘가에서 “아, 어찌 곡도(鵠島)에 홀로 남겨졌단 말인가!” 당(唐)나라 사신으로 가게 된 양패(良貝)를 따라 나선 게 엊그제 같은데, 육지에서 멀고 먼 서해 곡도에 홀로 남겨지게 되었다. 후회스러웠다. 차라리 따라 나서질 말걸. 가만히...
    By늘봄
    Read More
  7. 효자 호랑이 황팔도

    #_1. 옛날 어느 늦은 밤, 충남 보령 도화담 마을 즈음      밤이 깊어 깨어 있는 이 하나 없는 시간, 사내 하나가 마을을 어슬렁거리고 있었다. 마을에서 이름난 효자였던 황씨는 어머니의 병을 고치기 위해 황구(黃狗)의 간을 구해 집으로 돌아오던 중이었다....
    By늘봄
    Read More
  8. 강남 숯내와 동방삭

    #_1. 먼 옛날, 지금의 ‘강남’ 어딘가 흐르는 냇물이 시커멓다. 뭔 일인가 싶어 가보니 한 청년이 숯을 씻고 있는 게 아닌가. 아무리 생각해도 이상하다. 숯을 왜 물에 다 씻고 있는지 알 수가 없다. 그 장면을 이상하게 여긴 사내는 청년에게 다가가 물었다. “...
    By늘봄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333길56 | 발행처 : (주)모음플래닛 | DEO & 발행인: 김현청 | 편집장: 민정연
| 사업자번호: 501-86-00069 | 출판등록번호: 제 2015-000078호
| 편집실 전화: 02)585-0135 | 대표전화: 02)585-4444 | 기사제보: brown@moeum.kr | 운영/제휴/광고 문의: red@moeum.kr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