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인간사 액운을 막아주는 지장아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1. 동개남상주절의 깊은 밤으로부터

 

금슬 좋았던 남산국과 여산국 부부는 마흔이 넘도록 아이를 갖지 못했다. 그리하여 동쪽 산 너머 동개남상주절에 시주를 하고 부처님께 석 달 열흘을 빌어 드디어 딸을 얻게 된다. 그 아이의 이름을 지장이라 지었다.

 

한 살 때 어머니의 무릎에서, 두 살 때는 아버지의 무릎에서, 세 살 때는 할아버지와 할머니의 무릎위에서 노닐며 집 안의 귀염둥이로 자란다. 하지만 그 행복도 오래 가지 못했다. 다섯 살 때 할아버지와 할머니가, 여섯 살 때는 아버지가, 일곱 살 때는 어머니가 세상을 떠났다

 

지장은 할 수 없이 외삼촌 집에 머물렀지만 집 안을 잡아먹은 년이라며 구박하길 그치지 않았고, 개밥그릇에 밥을 먹어야 하는 상황에 놓인다. 결국엔 외삼촌에게 쫓겨나게 된다.

 

어찌 내 명은 이리 박복하단 말입니까.”

 

고아가 되고 집을 잃은 지장은 길거리에 나앉았으나, 옥황이 보낸 부엉새가 밥과 옷을 구해다 주고 밤이면 지장을 날개로 덮어 키웠다. 지장이 열다섯이 된 해, 지장의 착한 성품을 들은 서수왕이 지장을 며느리로 맞이한다.

 

며느리가 된 지장은 시집의 사랑을 받아 전답과 마소 재산을 전부 물려받고 아들까지 얻게 된다. 지장을 집으로 들인 후 서수왕 집에는 웃음이 끊이지 않았다. 하지만 그 행복 역시 오래 가지 못했다.

 

지장이 열여섯이 되던 해 시할아버지와 시할머니가 세상을 떠났으며, 열일곱이 되던 해에 시아버지가, 열여덟 해에는 시어머니가 세상을 떠났다. 그리고 열아홉에는 남편을 여의고, 사랑하는 자식마저 잃는다.

 

가혹하고 또 가혹합니다. 내 전생의 업이 무엇이 길래 이리 삶을 고되게 한단 말이오.”

 

시누이 집으로 거처를 옮겼으나, 지장은 시누이의 고된 구박을 받아야만 했다. 지장은 모든 걸 체념하고 몇몇 옷가지만 추린 후 집을 나온다. 사람이 살지 않는 곳에 자리를 잡고 억새, 속새를 베어 움막을 짓고 살았다.

 

어느 날 주천강 연못으로 빨래를 하러 가던 길에 만난 중에서 지장은 자신의 사주를 봐달라 했다. 중은 죽은 친부모와 시부모, 남편, 아들을 위해 전새남굿과 후새남굿을 하고 일러준다.

 

내 그리하여 나의 업을 풀 수 있다면 그리하겠소.”

 

지장은 뽕나무를 심고 누에를 쳐 명주실을 잣는다. 명주 열 필을 짠 후 친정할아버지, 친정할머니, 친정아버지, 친정어머니한테 한 필씩 올리고 시아버지, 시어머니, 낭군님, 아기한테 한 필씩 올린 다음 남은 명주 두 필은 굴장삼 짓고 고깔 짓고 바랑까지 지어 지장스님이 되었다.

 

지장은 죽어서 새의 몸으로 환생하는데 살아 어찌나 고통이 심했는지 머리에서는 두통새, 눈에서는 흘그새(흘깃흘깃하는 새), 코로는 악심(惡心), 입으로는 혀말림새(부부살림을 갈라놓는 새), 가슴에는 이열새(가슴을 답답하게 하는 새)가 나왔다고 한다.

 

 


#2. 인간사 액운을 막아주는 지장아기



지장아기3.jpg

 


제주도의 큰굿 중 시왕맞이양궁숙임제차에서 구송되고 있으며, 작은굿으로는 거무영청대전상이란 굿에서도 구송되는 <지장본풀이>(본풀이는 ()을 푼다라는 뜻으로 대체로 신()의 내력담을 말한다).

 

사람에게 해()한 새로 환생한 지장의 내력과 그 새를 쫓아내는 언사로 마무리되는 <지장본풀이>는 일종의 액막이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장의 기구하고 슬픈 삶을 살펴보았을 때 그녀가 신격화 되어 액막이 역할을 하는 건 역설적이라 할 수 있겠다.

 

대부분의 무속신화 주인공들은 시련 끝에 결국 일정한 권역을 관할할 수 있는 신이 되지만 지장아기씨는 비극적이게도 사람들이 거부하고 쫓아내고자 하는 새[], 즉 새[]가 된다. 여기서 말하는 새[]는 원래 굿에서 신이 제청에 들어올 때 함께 따라오는 사기(邪氣)와 부정(不淨)한 것을 가리키지만 발음상으로 동일하게 라고 부른 것이 결국 관념적으로도 []’와 동일화된 것이라 볼 수 있다(한국민속신앙사전: 무속신앙 편 <지장본풀이> 참고).

 

<지장본풀이>는 제주도의 다른 일반신본풀이와 달리 결말에서 주인공의 신직(神職) 좌정이 나타나지 않는다고 한다. 전새남굿과 후새남굿으로 업을 풀고 스님이 되어 공덕을 쌓지만, 마지막까지 사람이 쫓아내야 하는 ’[/]가 된 지장의 이야기엔 우리나라의 정한(情恨)의 정서가 담겨 있다 하겠다.    







TAG •
?

Title
  1. 인간사 액운을 막아주는 지장아기

    #1. 동개남상주절의 깊은 밤으로부터   금슬 좋았던 남산국과 여산국 부부는 마흔이 넘도록 아이를 갖지 못했다. 그리하여 동쪽 산 너머 동개남상주절에 시주를 하고 부처님께 석 달 열흘을 빌어 드디어 딸을 얻게 된다. 그 아이의 이름을 지장이라 지었다.  ...
    By늘봄
    Read More
  2. 돌하르방의 권선징악, 녹핀영감

    #1 제주도 바람맞이 언덕 위에서 어느 추운 겨울 날, 가난한 나무꾼이 나무를 지고 산을 내려오고 있었다. 옷은 여기저기 헤져 그의 살림살이를 짐작하게 했다. 그 때 나무꾼은 저 멀리 언덕 위에 서 있는 한 영감을 발견했다. “아니, 영감님. 이 추운 날 여...
    By늘봄
    Read More
  3. 만나지 말았어야 할 연인, 김현감호설화

    #1. 경상북도 경주시의 흥륜사에서 신라에 음력 이월이 되면 초여드렛날에서 보름날까지(8일~15일) 흥륜사의 전탑을 돌며 복을 비는 풍속이 있었다. 신라 원성왕 8년(792)사월 초파일에 일어난 일이다.  화랑 김현이 밤 깊이 전탑을 돌고 있었다. 더 시간이 ...
    By늘봄
    Read More
  4. 조광조의 안위를 물은 털사람

    #1. 옛 영남 함양 고을 위성관에서 어느 가을, 영남으로 안찰(按察)을 간 김모는 함양에 이르렀다. 손님을 맞은 향리는 술자리를 만들고 기생을 불러 대접하려 했으나, 이를 다 물리치고 홀로 방으로 돌아와 잠을 청하고 청했다. 덜컹. 밤이 깊은 시간 문이 ...
    By늘봄
    Read More
  5. 불과 아궁이의 신, 화덕벼락장군

    #1. 옛날 제주도 조천읍 와산리 어딘가 “큰딸년아, 내 뒤 귀썰매를 걷어보아라. 어쩐 일인지 귓등에 고랑니(이)가 끓는 듯 가렵구나.” “어머님아, 귓등을 걷어보니 고랑니는 없고 귓밥이 가득했습니다.” “그러면 귓밥을 내어다오.” 큰 딸과 ‘검은 땅 밭’에서 ...
    By늘봄
    Read More
  6. 늙은 여우의 심장을 쏜 거타지

    #1 서해 백령도의 어딘가에서 “아, 어찌 곡도(鵠島)에 홀로 남겨졌단 말인가!” 당(唐)나라 사신으로 가게 된 양패(良貝)를 따라 나선 게 엊그제 같은데, 육지에서 멀고 먼 서해 곡도에 홀로 남겨지게 되었다. 후회스러웠다. 차라리 따라 나서질 말걸. 가만히...
    By늘봄
    Read More
  7. 효자 호랑이 황팔도

    #_1. 옛날 어느 늦은 밤, 충남 보령 도화담 마을 즈음      밤이 깊어 깨어 있는 이 하나 없는 시간, 사내 하나가 마을을 어슬렁거리고 있었다. 마을에서 이름난 효자였던 황씨는 어머니의 병을 고치기 위해 황구(黃狗)의 간을 구해 집으로 돌아오던 중이었다....
    By늘봄
    Read More
  8. 강남 숯내와 동방삭

    #_1. 먼 옛날, 지금의 ‘강남’ 어딘가 흐르는 냇물이 시커멓다. 뭔 일인가 싶어 가보니 한 청년이 숯을 씻고 있는 게 아닌가. 아무리 생각해도 이상하다. 숯을 왜 물에 다 씻고 있는지 알 수가 없다. 그 장면을 이상하게 여긴 사내는 청년에게 다가가 물었다. “...
    By늘봄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333길56 | 발행처 : (주)모음플래닛 | DEO & 발행인: 김현청 | 편집장: 민정연
| 사업자번호: 501-86-00069 | 출판등록번호: 제 2015-000078호
| 편집실 전화: 02)585-0135 | 대표전화: 02)585-4444 | 기사제보: brown@moeum.kr | 운영/제휴/광고 문의: red@moeum.kr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