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효자 호랑이 황팔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_1. 옛날 어느 늦은 밤충남 보령 도화담 마을 즈음


    

밤이 깊어 깨어 있는 이 하나 없는 시간사내 하나가 마을을 어슬렁거리고 있었다마을에서 이름난 효자였던 황씨는 어머니의 병을 고치기 위해 황구(黃狗)의 간을 구해 집으로 돌아오던 중이었다.

집으로 돌아온 황씨는 깜짝 놀랐다아내가 잠도 자지 않고 아궁이에 불을 피우고 있었기 때문이다황씨는 적잖이 당황했다자신이 밤에 돌아다니는 사실을 아내가 눈치 챈 진즉 알았으나이렇게 마주칠 줄 몰랐기 때문이다아니,마주쳐선 안 됐다.


    

이보게이 시간에 안자고 뭐하고 있나.”

서방님을 기다렸지요밤마다 어딜 돌아다니나 궁금해서 참을 수가 있어야지요오늘에서야 이렇게 본 모습을 보게 되네요.”

숨길 생각은 없었소이게 어디 자랑거리가 돼야지어머니의 병이 다 나으면 말하려고 했지만....... 미안하게 되었구랴.”

괜찮습니다내 서방님이 그 흉측한 모습을 다신 못하도록 요망스런 책을 아궁이에 불살랐으니이제 두 번 다시 호랑이로 둔갑하진 못할 겝니다.”

지금 뭐라고 했소책을 태워?!”


몇 년 전황씨는 집으로 시주를 받으러 온 스님에게 어머니의 병을 고칠 방법을 일러주길 간곡히 부탁했다스님은 황구의 간 천개를 먹으면 병이 나을 거라고 일렀지만 찢어지게 가난한 황씨는 도저히 천 마리의 황구를 구할 수 없기에 스님에게 다시 간곡히 부탁했다.

    

스님 제가 도저히 황구의 간 천 개를 구할 수가 없습니다혹시 다른 방도가 없겠습니까.”

그대의 효심이 지극해 내 방도를 하나 일러주겠네이 책을 보면 호랑이로 둔갑할 수 있을 걸세호랑이로 변해 황구의 간을 구하게.”

    

그 후 황씨는 아내에게 숨긴 채 몇 년 동안 밤마다 호랑이로 변해 황구를 사냥해왔던 것이다.

    

서방님이 밤마다 그 요사스런 책을 보고 호랑이로 변하는 걸 다 봤습니다어머니를 위한다지만 그게 어디 사람이 할 일입니까?”

그 책이 없다면 사람으로 돌아갈 수가 없단 말이오!!”

    

황씨는 화가 나 크게 울부짖었다황씨의 울부짖음이 온 마을에 쩌렁쩌렁하게 울렸고가까이서 울린 호랑이 울음소리에 마을사람들은 겁을 먹고 사시나무 떨 듯 벌벌 떨었다.

    

아이고무서워라이젠 서방님이 사람인지 금수(禽獸)인지 구분이 안갑니다사람으로 못 돌아올 거면 당장 마을에서 나가시오!”

이게 다 누구 때문인데!”

   

황씨가 잠시 후 정신을 차리고 보니 아내는 이미 죽어 있었습니다아내의 목덜미에는 커다란 이빨자국이 선명했다.

    

내가 정말 짐승이 되어 가나 보다.”

    

그 길로 마을을 떠난 황씨는 전국 팔도를 돌아다니다 인간의 본성을 잃고 사람을 해하다 포수들에게 잡혀 생을 마감하게 됐다.



#_2. 효자 호랑이 황팔도


   

호랭이.jpg

<김홍도의 송하맹호도>



최남선은 조선의 범 이야기로만 <천일야화>를 만들 수 있을 만큼의 호담국(虎談國)’이라 말했다호랑이에 대한 설화가 그만큼 많다는 건 과거 한반도에 호랑이가 꽤 많이 서식하고 있었음을 말해준다백두산 호랑이가 유명한 건 괜히 지어낸 말이 아니며한반도의 형상이 호랑이를 닮았다는 말도 그냥 듣기 좋으라고 만든 말은 아닌 것이다


황팔도 설화는 구전되는 지역문화인물에 따라 조금씩 다른 형태를 취한다이 글에서 어머니의 병을 고칠 방도를 알려준 기인(奇人)이 스님으로 나타나지만또 다른 이야기에선 황팔도가 어머니의 병을 고쳐 달라 치성을 드리던 중 꿈속에서 만난 노인이 책을 건네줬다고 나타난다추후에도 계속 언급되겠지만 우리나라 민간 신앙이 불교와 도교에 영향을 많이 받은 탓에 나타나는 전형적인 두 가지 기인의 형태가 되겠다.


그리고 황팔도가 보고 호랑이로 둔갑했다는 책은 주역이라 언급되는 경우도 많다주역이라면 우리나라 사주팔자관상손금철학관 등등에서 사용하는 서적이다주역은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경전이라 알려졌으며그 난해함으로 인해 신비감을 주는 유교의 경전이다.


이제 진짜 전설이 된여름마다 찾아왔던 <전설의 고향시리즈에서도 아주 유명한 내 다리 내놔를 혹시 기억하거나 아는 사람이라면 이 황팔도 설화와 비교해보면 좋을 것 같다같은 효자 이야기이지만 한 명은 해피엔딩을다른 한 명은 새드엔딩을 맞는다.


어떤 이야기에서는 황팔도의 부인이 어머니를 극진히 모시는 황팔도에게 진저리가 나 일부러 책을 태워버렸다는 설화가 전해지기도 하며황팔도의 행위가 타인의 재물을 해하였기 때문에인간이 아닌 짐승의 형태로 효도를 행했기 때문에 그 대가를 치뤘다는 속설이 전해지기도 한다. ‘내 다리 내놔에서는 시체를 훼손해도 해피엔딩이었는데.


어쨌든 “......그리고 오래오래 행복하게 살았습니다.”로 끝나지 않았기에 황팔도의 설화에서 비극적인 면모가 두드러져 더 인간적이고 더 드라마틱한 이야기로 전해지게 된 것이라 생각된다





참고자료
문화콘텐츠닷컴 <한국의 몬스터 - 황팔도>, <한국설화 인물유형- 황팔도_1>, <한국설화 인물유형- 황팔도_2> 





?

Title
  1. 인간사 액운을 막아주는 지장아기

    #1. 동개남상주절의 깊은 밤으로부터   금슬 좋았던 남산국과 여산국 부부는 마흔이 넘도록 아이를 갖지 못했다. 그리하여 동쪽 산 너머 동개남상주절에 시주를 하고 부처님께 석 달 열흘을 빌어 드디어 딸을 얻게 된다. 그 아이의 이름을 지장이라 지었다.  ...
    By늘봄
    Read More
  2. 돌하르방의 권선징악, 녹핀영감

    #1 제주도 바람맞이 언덕 위에서 어느 추운 겨울 날, 가난한 나무꾼이 나무를 지고 산을 내려오고 있었다. 옷은 여기저기 헤져 그의 살림살이를 짐작하게 했다. 그 때 나무꾼은 저 멀리 언덕 위에 서 있는 한 영감을 발견했다. “아니, 영감님. 이 추운 날 여...
    By늘봄
    Read More
  3. 만나지 말았어야 할 연인, 김현감호설화

    #1. 경상북도 경주시의 흥륜사에서 신라에 음력 이월이 되면 초여드렛날에서 보름날까지(8일~15일) 흥륜사의 전탑을 돌며 복을 비는 풍속이 있었다. 신라 원성왕 8년(792)사월 초파일에 일어난 일이다.  화랑 김현이 밤 깊이 전탑을 돌고 있었다. 더 시간이 ...
    By늘봄
    Read More
  4. 조광조의 안위를 물은 털사람

    #1. 옛 영남 함양 고을 위성관에서 어느 가을, 영남으로 안찰(按察)을 간 김모는 함양에 이르렀다. 손님을 맞은 향리는 술자리를 만들고 기생을 불러 대접하려 했으나, 이를 다 물리치고 홀로 방으로 돌아와 잠을 청하고 청했다. 덜컹. 밤이 깊은 시간 문이 ...
    By늘봄
    Read More
  5. 불과 아궁이의 신, 화덕벼락장군

    #1. 옛날 제주도 조천읍 와산리 어딘가 “큰딸년아, 내 뒤 귀썰매를 걷어보아라. 어쩐 일인지 귓등에 고랑니(이)가 끓는 듯 가렵구나.” “어머님아, 귓등을 걷어보니 고랑니는 없고 귓밥이 가득했습니다.” “그러면 귓밥을 내어다오.” 큰 딸과 ‘검은 땅 밭’에서 ...
    By늘봄
    Read More
  6. 늙은 여우의 심장을 쏜 거타지

    #1 서해 백령도의 어딘가에서 “아, 어찌 곡도(鵠島)에 홀로 남겨졌단 말인가!” 당(唐)나라 사신으로 가게 된 양패(良貝)를 따라 나선 게 엊그제 같은데, 육지에서 멀고 먼 서해 곡도에 홀로 남겨지게 되었다. 후회스러웠다. 차라리 따라 나서질 말걸. 가만히...
    By늘봄
    Read More
  7. 효자 호랑이 황팔도

    #_1. 옛날 어느 늦은 밤, 충남 보령 도화담 마을 즈음      밤이 깊어 깨어 있는 이 하나 없는 시간, 사내 하나가 마을을 어슬렁거리고 있었다. 마을에서 이름난 효자였던 황씨는 어머니의 병을 고치기 위해 황구(黃狗)의 간을 구해 집으로 돌아오던 중이었다....
    By늘봄
    Read More
  8. 강남 숯내와 동방삭

    #_1. 먼 옛날, 지금의 ‘강남’ 어딘가 흐르는 냇물이 시커멓다. 뭔 일인가 싶어 가보니 한 청년이 숯을 씻고 있는 게 아닌가. 아무리 생각해도 이상하다. 숯을 왜 물에 다 씻고 있는지 알 수가 없다. 그 장면을 이상하게 여긴 사내는 청년에게 다가가 물었다. “...
    By늘봄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333길56 | 발행처 : (주)모음플래닛 | DEO & 발행인: 김현청 | 편집장: 민정연
| 사업자번호: 501-86-00069 | 출판등록번호: 제 2015-000078호
| 편집실 전화: 02)585-0135 | 대표전화: 02)585-4444 | 기사제보: brown@moeum.kr | 운영/제휴/광고 문의: red@moeum.kr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