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조광조의 안위를 물은 털사람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1. 옛 영남 함양 고을 위성관에서


 


어느 가을, 영남으로 안찰(按察)을 간 김모는 함양에 이르렀다. 손님을 맞은 향리는 술자리를 만들고 기생을 불러 대접하려 했으나, 이를 다 물리치고 홀로 방으로 돌아와 잠을 청하고 청했다.

 


덜컹.

 


밤이 깊은 시간 문이 열리는 소리가 들리고, 인기척이 느껴졌다. 김공은 깜짝 놀라 벌떡 일어났다. 어둠 저편으로 사람인지 아닌지 모를 것이 우두커니 앉아 있었다.

 


거기 사람이오, 귀신이오?!”


귀신이 아니오. 사람이오.”


그럼 어찌 깊은 밤 사람을 이렇게 놀랜단 말이오.”


    

김모는 방 안의 불을 밝히려 했으나 검은 덩어리의 사람이 급구 말렸다.

 


불을 켜지 말아주시오.”
왜 불을 켜지 말란 말이오.”


내 모습을 보면 필시 크게 놀라고 말 것이니, 그냥 이렇게 이야기를 나누고자 하오.”


그렇게 청한다면, 그리 하겠소.”

 


한 밤 중 김모의 방에 찾아온 사내의 사연은 이랬다.

 


그는 본래 경상북도 상주에서 주서 벼슬을 하던 우씨 성의 사내였다. 중종 때 명경과에 급제해 경성에서 벼슬을 살고 있을 때, 정암 조광조에게 여러 해 수업을 받았다. 그런데 기묘사화가 일어나게 되었고, 조광조와 관련된 사람들이 끌려가 죽임을 당했다. 우씨 경성으로부터 도망쳤으나 고향으로도 돌아갈 수 없는 신세가 되고 말았다



그는 그대로 지리산 첩첩산중으로 들어가 여러 날을 굶고는 참지 못해 계곡 주변의 풀과 열매들을 따먹으며 허기를 달랬다. 이렇게 오륙 개월을 지내고 나니 온 몸에 털이 나 길이가 수촌에 달했고, 걸음이 가벼워 높은 절벽을 넘고, 힘이 강해져 맹호도 잡을 수 있게 되었다.



스스로 생각하기에 딱 괴수이니 세상일이 궁금해도 지리산 밖으로 나올 수가 없었던 것이다.

 


김공이 온다는 소식을 듣고 죽음을 무릅쓰고 찾아왔소. 별다른 뜻은 없고, 정암 선생의 집안이 어떻게 됐는지 궁금할 따름이라오.”


정암은 인조 모년에 신원(身元)되었고, 자손 몇몇은 특별히 조정에 발탁되고 임금이 서원을 곳곳에 내려주었으니 남은 여한은 없을 것이오.”


잘 된 일이 되었소.”


그런데 처음 도망칠 때가 몇 살이었소?”


삼십 오세였소이다.”


지금이 기묘로부터 거의 삼백 여년이 지났으니, 우씨의 나이가 사백 살에 가깝소이다.”


    

김공은 찾아온 손님에게 대접할 게 없어 다음 날 밤에 다시 만나길 약속했고, 우씨가 다시 찾아오자 많은 과실을 대접했다.


    

김공은 우씨와 만났던 일을 평생 발설하지 않다가, 임종에 이르러서야 글로 남기게 되었다.


 




 


#2. 조광조의 안위를 물은 털사람






털사람.jpg


<이미지 출처 : KOCCA 문화콘텐츠닷컴>



 


기묘사화는 1519, 중종 14년에 일어났다. 기묘사화의 결과 조광조를 비롯한 기묘사림의 주요 인물들은 유배된 후 죽음을 맞이한 사건이다. 이 이야기에 등장한 우씨는 기묘사화를 피해 지리산으로 입산하여 삼백년 이상을 산 사람이다.


    

온 몸에 털이난 남성을 모인(毛人) 또는 모선(毛仙), 여성을 모녀()라고 불렀다. 이들은 히말라야에 산다는 설인(예티, Yeti)처럼 괴수가 아니라 일종의 신선에 해당한다.



신선이 되기 위한 수련 방법으로 호흡과 명상을 통한 내단(內丹)수련법, 남녀 음양조화를 통해 불로장생을 꾀하는 방중술(房中術), 경정과 주문을 암송하는 방법 등이 있다. 그리고 특정한 영약을 먹고 신선이 되는 복식법(服食)이 있는데 우씨는 복식법을 통해 선인이 된 케이스라 보면 좋을 것이다.

 


우씨 이야기 외에도 여러 편의 모인(毛人)’에 대한 이야기들이 전해진다. 길 잃은 서생을 도운 모인, 해송씨앗을 먹고 한 자 길이의 푸른 털이 자랐다는 모인, 백두산에서 잡힌 모녀이야기 등등. 신선사상은 본래 중국에서 유래된 것이나 우리나라에도 넘어와 다양한 이야기를 만들어 낸 것이다. 신선이라 함은 깊은 산속을 거닐며 근심걱정 없이 유유자적할 것 같지만 우리나라 이야기에 나오는 모인들은 속세와의 연을 완전히 끊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종교, 신앙적 의미에서 신선들이 점점 세속화되는 모습을 반영하는 것일 수도 있을 테고, 우연찮게 신선이 된 이들이 결국 인간성을 버리지 못한 채 회의적인 삶을 사는 모습의 반영일 수도, 시끄러운 세상으로부터 벗어나고 싶지만 결국 인간일 수밖에 없다는 현실을 반영한 것일지도 모르겠다










?

Title
  1. 인간사 액운을 막아주는 지장아기

    #1. 동개남상주절의 깊은 밤으로부터   금슬 좋았던 남산국과 여산국 부부는 마흔이 넘도록 아이를 갖지 못했다. 그리하여 동쪽 산 너머 동개남상주절에 시주를 하고 부처님께 석 달 열흘을 빌어 드디어 딸을 얻게 된다. 그 아이의 이름을 지장이라 지었다.  ...
    By늘봄
    Read More
  2. 돌하르방의 권선징악, 녹핀영감

    #1 제주도 바람맞이 언덕 위에서 어느 추운 겨울 날, 가난한 나무꾼이 나무를 지고 산을 내려오고 있었다. 옷은 여기저기 헤져 그의 살림살이를 짐작하게 했다. 그 때 나무꾼은 저 멀리 언덕 위에 서 있는 한 영감을 발견했다. “아니, 영감님. 이 추운 날 여...
    By늘봄
    Read More
  3. 만나지 말았어야 할 연인, 김현감호설화

    #1. 경상북도 경주시의 흥륜사에서 신라에 음력 이월이 되면 초여드렛날에서 보름날까지(8일~15일) 흥륜사의 전탑을 돌며 복을 비는 풍속이 있었다. 신라 원성왕 8년(792)사월 초파일에 일어난 일이다.  화랑 김현이 밤 깊이 전탑을 돌고 있었다. 더 시간이 ...
    By늘봄
    Read More
  4. 조광조의 안위를 물은 털사람

    #1. 옛 영남 함양 고을 위성관에서 어느 가을, 영남으로 안찰(按察)을 간 김모는 함양에 이르렀다. 손님을 맞은 향리는 술자리를 만들고 기생을 불러 대접하려 했으나, 이를 다 물리치고 홀로 방으로 돌아와 잠을 청하고 청했다. 덜컹. 밤이 깊은 시간 문이 ...
    By늘봄
    Read More
  5. 불과 아궁이의 신, 화덕벼락장군

    #1. 옛날 제주도 조천읍 와산리 어딘가 “큰딸년아, 내 뒤 귀썰매를 걷어보아라. 어쩐 일인지 귓등에 고랑니(이)가 끓는 듯 가렵구나.” “어머님아, 귓등을 걷어보니 고랑니는 없고 귓밥이 가득했습니다.” “그러면 귓밥을 내어다오.” 큰 딸과 ‘검은 땅 밭’에서 ...
    By늘봄
    Read More
  6. 늙은 여우의 심장을 쏜 거타지

    #1 서해 백령도의 어딘가에서 “아, 어찌 곡도(鵠島)에 홀로 남겨졌단 말인가!” 당(唐)나라 사신으로 가게 된 양패(良貝)를 따라 나선 게 엊그제 같은데, 육지에서 멀고 먼 서해 곡도에 홀로 남겨지게 되었다. 후회스러웠다. 차라리 따라 나서질 말걸. 가만히...
    By늘봄
    Read More
  7. 효자 호랑이 황팔도

    #_1. 옛날 어느 늦은 밤, 충남 보령 도화담 마을 즈음      밤이 깊어 깨어 있는 이 하나 없는 시간, 사내 하나가 마을을 어슬렁거리고 있었다. 마을에서 이름난 효자였던 황씨는 어머니의 병을 고치기 위해 황구(黃狗)의 간을 구해 집으로 돌아오던 중이었다....
    By늘봄
    Read More
  8. 강남 숯내와 동방삭

    #_1. 먼 옛날, 지금의 ‘강남’ 어딘가 흐르는 냇물이 시커멓다. 뭔 일인가 싶어 가보니 한 청년이 숯을 씻고 있는 게 아닌가. 아무리 생각해도 이상하다. 숯을 왜 물에 다 씻고 있는지 알 수가 없다. 그 장면을 이상하게 여긴 사내는 청년에게 다가가 물었다. “...
    By늘봄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333길56 | 발행처 : (주)모음플래닛 | DEO & 발행인: 김현청 | 편집장: 민정연
| 사업자번호: 501-86-00069 | 출판등록번호: 제 2015-000078호
| 편집실 전화: 02)585-0135 | 대표전화: 02)585-4444 | 기사제보: brown@moeum.kr | 운영/제휴/광고 문의: red@moeum.kr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